비트멕스 수수료, 생각보다 복잡하셨죠?

특히 메이커/테이커 수수료, 레버리지, 펀딩비까지 적용되면 머리가 아플 수 있어요.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비트멕스 거래 수수료, 선물 수수료, 펀딩비 구조까지 전부 쉽게 정리해드릴게요.
또한 비트멕스 수수료 계산 방법과 수수료 할인(★) 꿀팁까지 알려드릴게요!
비트멕스 거래 수수료 구조

비트멕스는 메이커(지정가), 테이커(시장가) 방식의 수수료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.
1. 현물(Spot) 수수료
메이커(Maker): 0.10%
테이커(Taker): 0.10%
2. 선물/영구계약 (Derivatives) 수수료
메이커(Maker): –0.025% (즉, 체결 시 리베이트 지급)
테이커(Taker): 0.075%
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.
시장 유형 | Maker | Taker | 비고 |
Spot (개인) | 0.10% | 0.10% | 기본 요율 |
Derivatives (개인) | –0.025% | 0.075% | Maker는 리베이트 발생 |
Spot (Insti‑5) | 0.02% | 0.02% | 고액 거래자 기준 |
Derivatives (Insti‑5) | –0.0030% | 0.02% | 상위 티어 적용 시 |
비트멕스 수수료 할인 받는 방법
비트멕스는 신규 가입자에게 수수료 할인 코드(레퍼럴)를 제공합니다. 레퍼럴 코드 적용 시 최대 수수료 할인이 되며 등급에 따라 추가 할인도 가능합니다. 일부 이벤트 기간엔 더 높은 할인도 제공됩니다.
추가 가입을 해서라도 반드시 최대 수수료 할인 받으세요. 클릭 후 가입만 하면 바로 적용됩니다.
가입 방법이 어렵다면 비트멕스 가입방법 참고하세요.
비트멕스 수수료 계산 예시

예시: 1BTC 매수, 가격 30,000달러
테이커 수수료 = 1 BTC × 30,000 × 0.075% = 22.5달러
메이커 수수료 = 1 BTC × $30,000 × (–0.00025) = –$7.5 (리베이트)
비트멕스 롱 숏 수수료 차이?
비트멕스에서는 롱(매수) 포지션이든 숏(매도) 포지션이든 기본적인 거래 수수료율은 동일하게 적용됩니다. 예를 들어, 테이커 주문 시 0.075%, 메이커 주문 시 –0.025%로, 포지션 방향에 따라 수수료 자체가 달라지지는 않습니다.
하지만 펀딩비(Funding Fee)라는 메커니즘 때문에 실질적인 거래 비용은 포지션 방향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 펀딩비는 일정 시간마다 롱과 숏 포지션 사이에 비용을 주고받는 구조이며, 펀딩비율이 +0.01%일 경우, 롱 포지션 보유자는 숏 포지션 보유자에게 0.01%의 비용을 지급하게 됩니다. 반대로 펀딩비율이 음수라면 숏 포지션이 비용을 부담합니다.
즉, 수수료는 같더라도 펀딩비율에 따라 롱이 더 불리하거나 숏이 더 불리할 수 있으며, 장기 보유 시엔 이 차이가 누적되어 수익률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. 따라서 포지션을 잡기 전에 현재 펀딩비율을 반드시 확인하고, 예상 보유 시간에 따른 실질 비용을 감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비트멕스 vs 다른 거래소 수수료 비교
거래소 | 메이커 수수료 | 테이커 수수료 |
비트멕스 | -0.025% | 0.075% |
바이비트 | 0.02% | 0.055% |
비트겟 | 0.02% | 0.06% |
비트멕스는 메이커에게 리베이트가 있어 장기 포지션 진입자에게 유리합니다.
비트멕스를 사용하더라도 비트겟과 바이비트를 같이 사용하세요.
각종 이슈에 대해서 쉽게 대처가능합니다.
바이비트 평생 수수료 최대 할인 + 증정금 받고 가입하는 방법 ▼
비트겟 평생 수수료 최대 할인 및 페이백 받고 가입하는 방법 ▼
마무리 요약
항목 | 요약 |
메이커 수수료 | -0.025% (리베이트) |
테이커 수수료 | 0.075% |
펀딩비 | 8시간마다 변동, 시장 수급에 따라 지불 |
수수료 계산 | 투자금 × 수수료율로 산정 |
할인 방법 | 레퍼럴 코드 사용 |